본문 바로가기
Balance/관심사

1인 출판사 설립 준비

by B N B 2023. 10. 14.
728x90

안녕하세요. Balance 입니다.
어릴 적 부터, 계속 생각해오던 희망해오던 버킷리스트(죽기 전에 하고 싶은 일을 적은 목록) 중 하나는 "내 이름으로 어떤 장르의 책이든 책을 한권 써보고 싶다" 였습니다.
책을 출판해서 돈을 벌고 싶다라는 생각보다 내 이름으로 만들어진 책을 출판하고 싶은 욕구가 컸습니다.
 
그러면서 발전해온 생각이 1인 출판사를 만들고 싶다는 것이였고 막연하게 생각만 하기보다 체크리스트를 만들어 하나씩 하나씩 단계를 밟아 진짜 출판사 설립하는 과정을 앞으로 정리해보고자 합니다.
 
아래 내용은 체크리스트이며, 아직 확인 및 검증되지 않은 체크리스트이며
단계를 밟아나가며 글을 지속 수정, 업데이트 할 예정입니다.
 
우선 가장 먼저 고려해야될 것은 "출판사 이름 결정"부터 문제입니다.
 
이름을 정하고 나면 문화체육관광부에서 관리하는 출판사/인쇄사 검색 시스템에서 중복된 이름이 있는지 확인해보아야 합니다.
https://book.mcst.go.kr/html/main.php

출판사인쇄사 검색시스템  | 문화체육관광부

<!-- 통계 인쇄사 현황 출판사 현황 --> 출판사 인쇄사검색 시스템은 출판사, 인쇄사 상호의 중복사용 방지 등을 위한 목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개인정보보호법에 의하여 대표자, 전

book.mcst.go.kr

출판사, 인쇄사 관련 문의 : 해당 지자체 문화예술과
→ 아직 궁금증이 해소가 안된 부분은 전국을 기준으로 중복이 없어야되는지, 같은 도 내, 지역 내에서만 중복이 없으면 되는건지에 대해 확인이 안됩니다. 이 부분은 확인 후 업데이트토록 하겠습니다.
 
이후 사업자등록보다도 먼저 해야하는 것은 "출판사 등록"입니다.
→ 출판사 등록을 해야 추후 사업자등록 발급시 "면세사업자"로 발급 받을 수 있음.
준비서류 : 자택 주소로 창업시(부동산 등기부등본 1부) or 사업장 임대시(임대차 계약서 1부)
공통준비물(준비서류) : 신분증, 인감도장, 주민등록등본, 출판사 등록신청서
 
아직 신청은 해보지 않았지만, 출판사 등록은 "관할구청의 문화체육과"를 방문하여 신청하고 접수 후 3~5일 정도 지나면
출판사 신고 확인증과 면허세 지로용지를 받을 수 있다고 합니다.
면허세는 27,000원이 청구된다고 하며, 면허세는 다음 해에 바로 리셋이 된다고 하니 연말에 출판사 신고를 하기보다는 다른 일정에 무리가 없으면 1월에 출판사 신고하는 것을 추천한다고 합니다.
 
그 후 "사업자 등록증" 발급하기
준비서류 : 신분증, 출판사 신고 확인증, 임대차 계약서 (자택 주소로 창업 시, 부동산 등기부등본)
※ 반드시, "부가가치세 면세사업자"로 등록 할 것
 
업태 : 출판, 정보통신업 / 업종 : 서적, 출판업, 일반 서적 출판업
 
그 후 "사업자 통장" 발급하기
 
====================================================================
 
아래 내용은 Chat GPT 에서 알려주는 출판사 창업을 위한 체크리스트 입니다.

Check List 1. 비즈니스 계획
: 비즈니스 목표, 목표 독자층, 출판 컨텐츠, 재정 계획, 마케팅 전략 포함
○ 출판사의 비전과 목표 설정
○ 목표 독자층 정의
○ 출판 컨텐츠 종류 결정
○ 재정 계획 작성
○ 마케팅 전략 개발

Check List 2. 법률 및 저작권
: 출판 활동을 시작하려면 법률 및 저작권 문제에 대한 이해 필요(작가와의 계약, 저작권 보호, 인쇄권 등에 대한 사항 확인)
○ 출판 관련 법률 및 규정 조사
○ 작가와의 계약 및 저작권 문제에 대비

Check List 3. 업체 등록 및 라이선스: 출판사로서 업체를 등록하고 필요한 라이선스를 획득해야 합니다. 이러한 라이선스 및 등록은 지역 법률 및 규정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 출판사로서 사업자 등록
○ 필요한 라이선스 및 허가 획득
○ 저작권 등록 (선택 사항) : 출판물의 저작권을 위한 보호하려면 대한민국의 저작권 등록 프로세스 확인
○ 표준 출판물 번호 (ISBN) 신청: 각 출판물에는 고유한 ISBN이 필요합니다. ISBN센터 확인
○ 문화체육관광부 등록 : 출판사로서 등록을 통해 정식 출판물을 생산하고 판매할 수 있습니다.

Check List 4. 출판 컨텐츠 구성
 : 출판 컨텐츠를 선택하고 준비. 품질과 주제 선택이 중요합니다.
○  컨텐츠 선택과 준비
○  편집과 디자인 준비 : 출판물의 내용을 편집하고 디자인을 하거나 전문 편집자 및 디자이너와 협력
○  ISBN 부여 (필요한 경우)

Check List 5. 인쇄 및 디지털 출판
: 인쇄와 디지털 출판 모두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 인쇄를 선택하면 인쇄 공급 업체와 협력하고 인쇄 샘플을 확인하세요.
○ 인쇄 공급 업체 선정
○ 디지털 출판 플랫폼 선택 (eBook 출판)
 
Check List 6. 유통 및 판매
: 출판물을 어떻게 판매할 것인지 이는 온라인 서점, 지역 서점, 이벤트 및 마케팅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온라인 서점 등 유통 채널 선택
  지역 서점과 협력 고려
  판매 전략 개발
 
Check List 7. 마케팅 및 홍보
: 출판물을 홍보하고 판매하기 위한 마케팅 전략을 개발. 웹사이트, 소셜 미디어, 블로그, 뉴스 레터 등을 활용.
○  웹사이트 개발
○  소셜 미디어 마케팅 계획
○  블로그 및 뉴스 레터 운영
○  출판물의 홍보 및 광고
 
Check List 8. 재정 및 예산
: 비용 및 수익을 관리하기 위한 예산을 설정하세요. 출판물 제작, 마케팅, 유통 및 기타 비용을 고려하십시오.
예산 설정과 경비 관리
○ 자금 조달 방안 고려
 
Check List 9.  서적 배포
: 출판물을 대중에게 배포하고 판매합니다. 이를 위해 적절한 유통 채널을 선택하세요.
○ 출판물을 대중에게 배포 및 판매
○ 물리적 책 제작 및 인쇄
○ eBook 및 오디오북 형식 고려

Check List 10. 피드백 및 개선
: 독자와 작가의 피드백을 수용하고 출판물과 비즈니스를 계속 개선하세요.  
○ 독자와 작가의 피드백 수용
○ 출판물 및 비즈니스 프로세스 개선
 

728x90